Switch to: References

Add citations

You must login to add citations.
  1. Epistemological Foundation within Debates on Perception: The Comparison between Dharmakīrti and Kumārila. 성청환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4 (34):43-70.
    미망사학파의 쿠마릴라와 불교논사 다르마키르티는 비록 생존 연대의 선후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동시대의 인물이다. 각각 미망사와 불교의 철학적 논의의 정점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들의 사상은 지각의 논의에서도 서로 상반된다. 두 사상가 모두 인식을 무모순성이라고 정의하여 유사성을 보이는 듯하나, 쿠마릴라는 무모순성이 내재적 정당성으로 보증된다고 주장하고, 이는 결국 베다의 영원성을 논증할 수 있게 되는 근거가 된다. 반면 다르마키르티는 인식의 무모순성을 인간의 목적 성취로 규정하여 그 지향점이 다르다. 이를 바탕으로 지각에 대한 정의와 논증에서도 이들은 첨예하게 대립한다. 쿠마릴라는 지각은 다르마를 알 수 없는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 Siddhasena Mahāmati and Akalaṅka Bhaṭṭa: A Revolution in Jaina Epistemology.Piotr Balcerowicz - 2016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4 (5):993-1039.
    Two eight-century Jaina contemporaries, a Śvetāmbara philosopher Siddhasena Mahāmati and a Digambara Akalaṅka Bhaṭṭa revolutionised Jaina epistemology, by radically transforming basic epistemological concepts, which had been based on canonical tradition. The paper presents a brief historical outline of the developments of basic epistemological concepts in Jaina philolosophy such as the cognitive criterion and logical faculties as well as their fourteen typological models which serve as the backdrop of important innovations in epistemology introduced by Siddhasena, Pātrasvāmin and Akalaṅka. An important contribution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4 citations  
  • Is Dharmakīrti Grabbing the Rabbit by the Horns? A Reassessment of the Scope of Prameya in Dharmakīrtian Epistemology.Pascale Hugon - 2011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9 (4-5):367-389.
    This paper attempts to make sense of Dharmakīrti’s conflicting statements regarding the object of valid cognition ( prameya ) in various parts of his works, considering in particular the claims that (i) there are two kinds of prameyas (particulars and universals), (ii) the particular alone is prameya , and (iii) what is non-existent also qualifies as prameya . It inquir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lidity ( prāmāṇya ), reliability ( avisaṃvāda ) and causal efficacy ( arthakriyā ) and suggests that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 Denotation as Complex and Chronologically Extended: anvitābhidhāna in Śālikanātha’s Vākyārthamātṛkā - I.Shishir Saxena - 2019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7 (3):489-506.
    The two theories of verbal cognition, namely abhihitānvaya and anvitābhidhāna, first put forth by the Bhāṭṭa and Prābhākara Mīmāṃsakas respectively in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millennium C.E., can be considered as being foundational as all subsequent thinkers of the Sanskritic intellectual tradition engaged with and elaborated upon these while debating the nature of language and meaning.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first chapter of Śālikanātha’s Vākyārthamātṛkā and outline the process of anvitābhidhāna described therein. Śālikanātha explains this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3 citations  
  • The Maṅgalaśloka of the Pramāṇasamucaya and the Dasheng Qixin Lun. 성청환 - 2016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6 (46):161-188.
    본 논문은 인도불교의 인식•논리학에서 근본 논서로 일컬어지고 있는 디그나가의 『집량론(集量論)』의 귀경게(maṅgalaśloka)와 동아시아 불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기신론』의 귀경게를 비교분석한다. 두 논서에서 예경의 대상으로 성스럽게 지칭되는 붓다의 공통점은 대승불교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대비(大悲)이다. 각각의 논서에서 다양한 논리로 지칭되고 있고 특징 지워지고 있는 붓다의 명호는 결국 중생 구제라는 최종의 목적을 향하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바탕은 붓다의 자비로움이다. 디그나가는 귀경게에서 예경의 대상을 붓다에 한정하며, 이는 PS를 주석한 다르마키르티의 기본 입장도 다르지 않다. 반면 『기신론』의 귀경의 대상은 불법승 삼보로 그 의미가 확대된다.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 The Self as the Subject of Knowing and Action in the Mīmāṃsa Philosophy. 성청환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6 (36):79-98.
    미망사학파에서 ‘자아’는 지성의 본성이며 불변의 실체이며, 앎의 능력인 인식능력을 소유한 ‘아는자’이다. 인식 능력을 소유한 자아의 실체성과 편재성은 해탈의 경지에서도 결코 소멸되지 않고 영원하다. 미망사학파는 ‘나라는 개념’의 재인식에 주목함으로써 자아의 존재를 증명한다. 마치 과거에 존재 했었고 현재에 존재하고 있는 어떤 대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정당화되는 것처럼, 기억 속의 경험의 주체로서 나 스스로에 대한 재인식이다. 쿠마릴라와 샤바라는 경험적 현상 세계에 실존하는 존재를 근거로 초월적 자아의 존재성을 증명하며, 자아의 영원성과 불변성을 지지하면서도 양태 변화의 정당성을 옹호한다. ‘나는 안다’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 On the Alleged Indebtedness of the Vedānta Paribhāṣā Towards the Vedānta Kaumudī: Some Considerations on an Almost Forgotten Vivaraṇa Text.Gianni Pellegrini - 2016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4 (3):485-505.
    Dharmarāja Adhvarin’s Vedānta Paribhāṣā is a well-known introduction to Advaita Vedānta, targeted to beginners who are already trained in Navya Nyāya. According to Dasgupta, the VP is so heavily indebted to Rāmādvaya’s Vedānta Kaumudī, which was composed in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and is today almost forgotten, that the VP’s “claim to originality vanishes”. The VK was, however, only edited in 1955 and then again in 1973. In the light of this improved textual basis, what is our judgement (...)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